uxui 직무를 준비하는 취준 기록. 블로그를 꾸미며 연습한 uxui 디자인

따릉이 앱 ux 분석(1)-개선점 찾기

서울시의 공유자전거 대여 서비스 앱 ‘따릉이’를 스터디하고 개선사항을 찾아 제안을 해보는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본 프로젝트의 목적은 존재하는 서비스에서 문제를 정의하고 ux를 개선하는 것이다. UX를 개선하기 위해 UI와 전반적인 사용 경험을 다 검토한다.

추가로 개선할 것을 찾고, 의도한 대로 개선이 되었는지 측정까지 할 수 있다면 너무나 좋을 것이다. 하지만 따릉이 앱은 서울시 서비스로 측정을 부탁하지 않는 이상 불가능한 이야기이다.

의심1. 꼭 측정을 해야만 할까? 회사는 디자이너의 성과를, 아니 일반 사원의 성과를 어떻게 측정할까? 나는 내 성과를 스스로 측정하고, 평가해서 수시로 성찰을 할 수 있는가?

첫번째 섹터로 개선할 점을 찾자.

개선점 찾기

기획은 고객(혹은 거래사)의 입장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첫 인턴 생활을 예상과 다르게 기획업무를 맡으며 열심히 찾아봤던 유투브에서 반복적으로 들었던 말이다. 문제발견, 문제정의, 문제해결

문제발견

직원, ‘내’가 아니라 사용자의 문제를 해결해준다. 나는 거만하지 않게, 사람들에게 무언가를 주는 사람이 되고 싶다. 이것이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디자이너들이 하는 얘기는 ‘영감’, ‘아이디어’가 중요한게 아니라 이를 확실히, 좋은 퀄리티를 보장하는 ‘절차’, ‘프로세스’가 중요하다고 한다.

1. 유저 플로우 파악 -> 핵심유저 플로우 파악

일주일, 4명의 조건으로 미니프로젝트로 진행하기에, 개선할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핵심’ 유저 플로우를 알아냈다.

2. 정보 구조도 작성

객관적으로 앱의 전체구조를 간략하게 파악하고자 정보 구조도를 작성했다. 몇분 안으로 끝내는게 의도였다.

3. 질문지 작성

팀 인원이 대체로 따릉이를 잘 이용하지 않은게 약간 진행의 어려움을 만들었다. 그래서 블로그로 자료를 찾아가며 사용하는 느낌을 인터뷰 전에 최대한 파악했다. 따릉이를 종종 이용한 나는 어렵지 않게 질문지를 작성할 수 있었다.

4명이 같이 질문지를 작성하는 일은 각자 질문을 생각나는대로 적고,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방식으로 조그마한 단위로 비슷한것끼리 묶고, 이를 다시 묶는 작업을 진행해서 질문을 빈틈없이, 하지만 중요한 단위로 묶었다.

의심2. 이게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방법을 만들고 사용하는 의도에 맞는 거였을까?

나는 질문지를 만들고 공고문을 올리는 것을 선호한다.


Posted

in

by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