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ui 직무를 준비하는 취준 기록. 블로그를 꾸미며 연습한 uxui 디자인

따릉이 앱 ux 분석(2)-인사이트 도출

설문 결과를 다른 팀원이 읽기 쉽게 형식에 맞춰 정리했다(팀원들이).

내가 적은 글은 조장님의 지도하에 철저히 편집되었다. 이유는 다른 사람들이 읽을 수 있는 용어를 사용해야한다는 것이다.

– 우리 조장님

팀으로 작업을 할 때, 팀원들에게 배울 점이 많다는 건 최고의 장점이다.

인터뷰 결과 옆 쪽에 인사이트를 적었다. 내가 적은 인사이트는 다시 한번 모두다 편집되었다. 약간 서운했지만, 이틀이 지난 오늘 돌아보니 100번 맞는 말이었다.

내가 적은 것은 요약이지, 인사이트가 아니었다. 물론 사람은 완벽하지 않기에, 이해가 잘못될 때는 내가 바로 잡은 것도 있지만, 요약이 아닌 인사이트는 보다 간소하고, 추상화되고, 정형화되어 다른 조원이 읽기 쉽고, 디자인 적으로 나아갈 여지가 있는 것이다.

– 우리 조장님

인사이트-인터뷰

인사이트를 모았다. 내가 한 작업물이 아니라서 간단하게 캡쳐만 했다. 인사이트를 모아서 다시 비슷한 것끼리 모으고 분류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기능/따릉이 사용이유/장점,

사용성 관련 문제점/컨텐츠 인지 문제점/ui 관련 문제점

조장님이 이렇게 분류를 했다. 계속해서 모아보고, 분류하고를 반복하며 위와 같은 카테고리로 정리한 것 같다.

인사이트-경쟁 서비스 분석

  1. 따릉이를 서비스하는 곳
    • T-Money Go!
    • TOSS

내가 한 작업물은 아니고 팀원이 했다. 난 뭘한거지? 이때 인터뷰지를 마저 작성하고 있었다. 사실 따릉이를 이미 썼던 상태라 뭔가 분석할 필요가 없다고 느끼고 있었는데, 팀원들이 내가 안하던 것을 다 했다.

  • 타 지역 공유자전거 서비스
    • 타슈
    • 타실라

    기타 사설 공유 모빌리티 앱들도 조사했다. 이 때까지만해도 크게 관련이 없을거라 생각했는데, 개선할 때에 모든 앱을 다 참고했다.

    4개 서비스에 대해서 모든 것을 조사하진 않고, 핵심 유저 플로우에 해당하는 대여-반납 화면을 조사했다.

    그래서 경쟁 서비스에서 얻을 수 있었던 인사이트는 뭘까?

    각 서비스별로 제공하는 기능을 간략하게 정리하여 어떤 정보를 어디서 제공하는지 파악했다. 이는 곧 각 서비스 별 특징(어떤 기능을 어디서 제공하여 편했다…)을 결정지었다.

    인사이트 분석-정량조사

    내가 한 자료가 아니라서 간략한 화면만 캡처했다.

    따릉이 운영대수와 대여소 현황, 사용자 관련 통계(연령, 직장인 여부, 미혼/기혼, 취향, 사용 시간 & 활성화 시간..

    정량조사로 얻을 수 있었던 인사이트

    • 폐쇄된 대여소가 34곳 있었고, 최근 1년내에 폐쇄된 대여소가 그 중 67%를 차지했다.
    • 정기권을 쓰는 비율이 80%를 넘었다.
    • 계절이 이탈율에 영향을 많이 끼친다.
    • 유동인구에 따라 부족한 현상이 심화되었다.


    Posted

    in

    by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