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ui 직무를 준비하는 취준 기록. 블로그를 꾸미며 연습한 uxui 디자인

ux 사용성 테스트

How to?

테스트할 사람, 할 일후속 질문(상황에 맞춰서)을 준비, 피험자의 행동을 관찰하여 원했던 통찰을 얻는다.

준비 순서
  1. 목적 설정 – 과연 진짜 사용하면 어떨지, 테스트를 해보자! – 매우 중요, 너무너무 중요(중요한 이유)
  2. 사용자 모집 – 유저 페르소나에 어울리는 사람으로.
  3. 테스크 선정 – 목적이 잘 세워졌다면, 아마 쉬울 것
  4. 시나리오 작성(영화에서 ‘시나리오 쓰고있네’ 그거 맞다)
  5. 파일럿 테스트 – 예행연습. 회사 안에서 동료들에게.
테스트 당일날

에는 안내 ->테스크 -> 후속 질문 -> 마무리 로 진행된다. 미리 준비한 인터뷰 시나리오(사용성 테스트 시나리오) 활용(총 1시간 내외).

테스트를 받는 입장은 어떨까?
‘테스트를 한다. 테스트를 받는다. 저 사람이 시켜서 한다. 뭐라도 말해야 될 거 같아.’ 이런 느낌이 최대한 들지 않아야 할 거 같다. 피험자의 마음속으로 ‘오…. 준비 잘했는데? 진짜 필요해서 쓰는 거 같잖아. 함 해보자!’ 라는 생각이 들게 해야겠다.

Think Aloud

피험자가 자신의 생각을 말로 표현하는 방식이다.
주의할 점 :
피험자가 담당자에게 ‘이거 뭐에요?’하고 물어봐도 절대 답을 주지 말아야한다. 아, 열받네?

When?

ux 기획 어느 단계에서나 활용이 가능하다. 제한을 두지 말고, 유저의 신선한 반응, 프로젝트 중간 결과물에 대해 실제 상태에 가까운 통찰을 얻기 위해 필요할 때 진행하란 뜻이다.

Who?

유저 페르소나에 맞는 사람을 구하는게 좋을 것이다. 5명 정도면 해당 페르소나, 유저 단위의 85% 니즈를 파악할 수 있다.

What?

테스크를 통해 사용성에 대한 통찰을 얻는다. 참가자가 테스크를 수행하면 진행자가 다음 테스크를 지시한다. 관찰자는 다른 공간에서 관찰을 한다.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처럼 테스트 자체와 참가자의 표정, 반응 등 다양한 것을 관찰한다.

테스크 예시
  1. 카카오로 소셜 로그인을 시도하세요(근데 아직 자사 커머스 서비스에 회원가입을 안한). (샘플)카톡 아이디로 성공적으로 로그인이 될 때까지 진행하세요.
  2. 네이버, 애플, 삼성계정으로 소셜 로그인(위와 똑같은 과정)
  3. 아이디/비밀번호 회원가입을 진행하세요.
  4. 아이디/비밀번호 로그인을 10회 이상 틀려보세요.
  5. 소셜 회원가입을 진행하다가 취소하고 다시 소셜 회원가입을 진행해보세요.
  6. 인터넷 연결이 안되는 곳에서 로그인을 진행해보세요.
  7. 사려고 하는 물건 세개를 종이에 적어주세요. (회원가입과 로그인을 진행하고), 아까 사려고 했던 물건이 뭔지 말해주세요.

Where?

원격(생중계 인프라가 있는 상태), 공간(금전적 상황에 맞춰서)

앞서 사용성 테스트의 목적 – 의문 부분을 보완하여 설명한다. 모든 사용성 테스트는 그 목적이 어떤 세부기능이나 테스크에 대해 유저의 사용성을 보려는 것 아닌가?

예를 들어, 디자인에 대한 피드백이나, 성능 개선에 대한 테스트는 사용성 테스트로 진행하지 않을 것이라는 나의 추측이다.


Posted

in

by

Tags: